자산 관리, 투자 R&D 과정 공유하는 곳

궁금하신 건 leejunwoo@team-academi.io으로 요청 부탁드립니다.

2024/07/01 2

2주차 스프린트 계획 간단 요약 + 네이버 블로그 시작: 티스토리 연재랑 네이버랑 뭐가 다른지도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에셋코치입니다. 1주차 스프린트를 마치고 회고를 하면서 2주차 계획을 얼추 세워봤는데요. 이에 대해서 간략하게 공유드려보겠습니다. 일단 사업적으로 독자님들이 피드백을 많이 주셨습니다. 지인 분들께 자문을 구하기도 했구요. 일단 자신이 보는 인플루언서들은 누군지, 어디서 보는지 등에 대한 피드백을 감사하게도 상세히 주셨습니다. 그렇게 받은 여러 피드백에서 언급되었던 모든 레퍼런스들을 목록화해서 채널별로 적어봤었습니다. 언급된 레퍼런스 개수는 총 50개 정도 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나씩 하나씩 가볍게 검토해보고 문서로 정리하는 과정이 있었습니다.   전체 채널 통틀어서 운영 시작 시간, 발행 게시물 수, 평균 발행 주기, 구독자 수, 조회 수 등 인플루언서의 영향력과 그 효율을 짐작해볼 수 있는 ..

고정비율 투자 기법: 기법이라고 말하기도 애매하나 안 말하기도 그렇고.. 수익곡선 디벨로퍼 4편.

안녕하세요. 에셋코치입니다. 이번에는 고정비율 투자 기법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해요. 변동성을 조절하는 기초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겠습니다. 일단 밑에서 설명드려보려고 하는 '고정비율 투자법'이 있구요. 다른 하나는 변동성 목표치 조절법이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이 중에서 고정비율 투자법부터 그 방식과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투자할 때, 변동성이 지나치게 커지면, 손실이 커지고 수익이 줄어들기가 너무 쉬워진다는 맥락으로 여태껏 얘기해본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정 수준으로 변동성을 조절해낼 줄 알아야 한다는 거구요.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높이는 것이 멋진 수익곡선을 만들어내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수익곡선은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