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관리, 투자 R&D 과정 공유하는 곳

궁금하신 건 leejunwoo@team-academi.io으로 요청 부탁드립니다.

수익곡선 디벨로퍼

(2) 수익을 최대한 지키는 매도 전략이 필요하다면, 추적 청산(Trailing Stop).

에셋코치 2024. 7. 15. 21:54
728x90

수익 목표치 기준 매도는 주가의 움직임에 기민하게 반응하면서 수익을 최대한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익 목표치 기준 매도 방법은 이평선같은 특정한 기술적 지표를 기준으로 매매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말 그대로 목표 수익률을 정한 상태에서 매도하는 방법이 수익 목표치 기준 매도 방법입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매도할 경우, 매수 이후 수익이 최대 20% 정도 수준까지 발생했더라도,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이탈하는 것을 확인한 후에 매도하기 때문에, 정작 매도 시 수익은 10% 수준이 될 수도 있을 겁니다. 매도 시 수익이 어쩔 수 없이 할인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에 비해 수익 목표치를 정해놓고 매도하면, 이미 발생한 수익을 확보하면서 차익을 실현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동평균선 기준 매도 방식과 다르게 큰 시세는 놓칠 수도 있겠죠. 그래서 전 편에서 각각의 전략마다 장단이 있다고 설명드렸기도 합니다.

 

기술적 매도 관련 콘텐츠 보기.

https://assetcoach.tistory.com/101

 

매도 전략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추세 추종 매매의 기본적인 전제가 되는 가치관이 있습니다. 바로 추세에 대한 기다림이겠죠. 추세는 지속적인 경향이 있긴 하나 얼마나 크게 날지는 모르기에 최대한 큰 추세가 날 때까지 홀딩

assetcoach.tistory.com

 

수익 목표치를 정하고 매도를 한다고 했을 때, 어느 정도 수익에서 매도를 어떻게 한다는 걸까요? 수익 목표치 기준의 매도 전략을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추적 청산(Trailing Stop)과 분할 매도에 대한 개념 이해가 선행되야 할 것입니다.

 

독자님이 매수한 종목이, 강한 상승 추세에 접어든 상황입니다. 금일 장중에 드디어 20%대 수익을 돌파하는 흐름이 나오고, 계속 올라가는 게 확인되는 매우 나이스한 상황입니다. 이때 무조건 20% 수익에서 전량 이익을 실현해야 할까요? 

 

주가가 계속 올라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20% 수익 내기'라는 거친 목표로는, 자신이 정해놓은 20%의 수익선으로 인해 실제 추가적인 수익 자체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는 것입니다. Trailing Stop이라는 추적 청산의 개념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주목되곤 합니다.

 

계속 주가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이 염두한 수익 목표치에 도달했다면, 하락 전환을 예상하고 매도하는 게 아니라 최고점까지 올라간 이후 주가가 살짝 꺾이는 것을 확인하고 매도하는 방안인 것입니다. 이것이 추적 청산의 쉬운 맥락입니다.

 

추적 청산(Trailing Stop)의 개념은 대충 이렇습니다.

 

HTS로 매매한다고 생각하면, '현재가가 30,000원에 도달 후 고점 대비 10% 하락'이라는 조건을 설정하고 가격별로 주문이 나가도록 추적 청산을 설정할 수 있겠습니다. 

 

정리해보자면, 추적 청산은 입력한 목표 가격이나 목표 수익률을 초과한 이후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최고점을 기준으로 우리가 설정한 하락 폭만큼 값이 내려갔을 때 매도 주문을 실행하는 방식인 것입니다. 추세로 인한 이익을 최대한으로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셈입니다.

 

HTS에서 자동으로 주문을 실행할 것이기 때문에, 계속 차트를 들여다볼 필요는 없습니다. 사실 차트를 보면 숫자가 이리저리 바뀌고 차트가 이리저리 기록되니 재밌을 수는 있어요. 그러나 성장의 관점에서, 다른 데 시간을 투자하는 게 훨씬 이익이 클 것입니다. 차트 적게 보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적 청산은 장중의 실시간 가격을 기준으로 하기에, 장중에 예상치 못한 가격 변화에도 큰 수익을 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합리적인 매수 매도 전략은 기대 이상의 이익을 확보하게 도와줍니다.


추적 청산을 잘못 이해하고 쓰면 또 문제가 될 여지가 많은데요. 손절선 없이 추적 청산을 건다던지, 추격 매수를 하고 추적 청산을 건다던지 등의 기초적인 문제 상황들이 떠오를 수 있을 겁니다. 나중에 추적 청산의 잘못된 응용 사례들 또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매도 전략의 큰 줄기부터 따지는 게 좋으니, 다음 편에는 분할 매도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셋코치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