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관리, 투자 R&D 과정 공유하는 곳

궁금하신 건 leejunwoo@team-academi.io으로 요청 부탁드립니다.

수익곡선 디벨로퍼

(1) 매수도 전략적으로 할 수 있다? (종가 매수)

에셋코치 2024. 7. 15. 18:11
728x90

매수는 여러 방법으로 할 수 있어요. 투자자마다, 상황마다 매수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나름의 장단이 다 있어요. 잘 파악해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실행해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이번에는 추세 추종 매매의 측면을 중심으로 매수 방법들을 다뤄보겠습니다.

매수 매도도 전략적으로 해야 합니다.

 

우선 대표적인 매수 방법은 '종가 매수'에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죠. 유의미한 돌파가 일어나는 당일 종가에 매수하고, 손절선은 돌파 양봉의 시가로 잡는 방안이 추세 추종 매매에서는 가장 보편적일 수 있어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볼게요. 장 마감이 가까워질 무렵, 2시 30분 이후 기술적 조건과 수급적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을 선정한다고 쳐요. 그러면 2시 50분부터 3시 사이에 '시장가' 주문을 내면 종가 매수를 할 수 있을 겁니다. 

 

장중 종목을 검색하여 종가에 매수하기에는 회사 업무 시간이 있어서 곤란하다구요? 바쁜 직장인들이나 소상공인 또는 사업자 분들의 경우에도 다음 날 예약 매수를 통해 종가 매수를 할 수 있을 겁니다. 어떻게 하냐구요? 퇴근 이후 당일 유의미한 돌파가 일어난 종목을 검색하고,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다음 날 이 가격대 이하로 매수 주문을 내는 겁니다. 그러면 장중에 종가 매수가 가능해지죠.

 

아주 강한 종목의 경우, 전일 종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전혀 내려가지 않고 바로 상승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당일에 매수하지는 못해도, 세력이 다음 날이나 이후 전일 종가 이하로 조정을 하는 경우가 흔해서요. 다음 날 또는 이후 2~ 3일 정도까지 매수할 수 있을 겁니다.

 

종가 매수 시 주의점.

매수 시 가장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매수의 기준 가격은 박스권을 최초로 돌파하는 시점의 양봉 종가 이하 가격이어야 해요. 돌파가 일어난 양봉의 종가보다 높은 가격에서는 절대 추격 매수를 하면 안 될 겁니다. 너무 위험합니다. 매매할 종목은 매일 쏟아질 겁니다. 급할 거 없으니 추격 매수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추격 매수는 리스키하니까 되도록이면 제고해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피치 못하게 당일 종가에 매수하지 못해서 다음 날 매수를 기다렸는데도 매수 가격까지 떨어지지 않는다구요? 어쩔 수 없습니다. 추격 매수는 하지 마세요. 박스권 돌파 시점의 양봉 종가 이하 가격으로 매수하지 못한다면, 지나가시길 바랍니다.

 

결국에는 추격 매수를 하게 되는 유형이 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막상 우연찮게 종목을 보다 보니까 박스권 돌파가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박스권 돌파인지는 잘 몰라요. 아무튼 오른 것을 봤습니다. 봤을 때는 그 종목이 좀 비싸 보여서 사지 않았습니다. 다음 날 또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너무 안타까운 마음이 들어요. 또 주가가 오를 것 같아서 기대감을 갖고 전일 종가보다 높은 가격대에 추격 매수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추격 매수를 했는지도 모른다는 겁니다.

 

전략 없는 추격 매수는 손절 또는 큰 손실로 이어지기 쉬운 경우입니다. 운이 좋아서 상승할 수 있겠죠. 기억해야 할 것은, 이런 상황 속 추격 매수는 확률적으로 그닥 좋은 선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당일 음봉으로 마무리되거나, 다음 날 추가 조정이 오면 원치 않은 손해를 안고 가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겨요.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추격매수가 옳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종가 매수나 추세 추종 개념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박스권 돌파 매매와 추격 매수는 한 끗 차이기 때문에 더 주의하는 맥락도 있습니다. 돌파 다음 날 초반에 주가가 잠깐 상승하는가 싶다가도, 돌파 기준으로 양봉 몸통의 중간 이하 가격까지 조정이 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박스권 돌파 매매는 이해도가 어느 정도 있는 투자자에게는 합리적인 단기 투자 전략이긴 합니다. 그러나 이해도 낮은 사람도 손가락만 따라하면 100% 수익을 벌게 되는 무적의 논리는 아니에요. 무턱대고 추격 매수하면 손절폭이 커서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추세 추종 매매에서의 손절선.

기술적 분석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수급적인 조건 또한 만족하는 종목에서 유의미한 시세가 나는 경우를 따졌을 때요. 돌파 양봉의 종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조정이 일어나는 경우, 대부분 전일 양봉 종가의 2% 내외로 조정이 일어나곤 합니다. 최초의 돌파 시점에서 매수했다면, 종가 기준으로 장대 양봉의 시가선으로 손절선을 잡는 게 대체로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장중 가격보다는 방향성이 확실히 결정되는 종가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매수 방안 중 기본적인 '종가 매수' 방안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여담인데 매수할 때 손절선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퀀트나 시스템 트레이딩 하시려는 분들도 당연히 알고리즘에 손절선은 있어야겠죠. 매수는 일단 '손절선 설정'이 기본 전제겠습니다. 종가 매수는 장 중의 장난질에 당하지 않고 조금 더 안정을 취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볼 수도 있겠어요. 여유 갖고 성투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에셋코치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